2025년 1학기 6차 평생교육론
닫기버튼

대면지역 안내

대면지역 신청인원 모집인원

학사/시험안내

학습기간 2025.04.08 ~ 2025.07.21
신청기간 2025.02.05 ~ 2025.04.07
학점 / 차시 3 학점 / 39 차시
판매가 150,000
중간시험 2025.05.30 ~ 2025.06.02
중간과제
기말시험 2025.07.18 ~ 2025.07.21
기말과제 2025.06.03 ~ 2025.06.16
강의계획서
차시 차시내용 시간
1주  4월8일~4월14일
1차시 평생교육 개념 등장의 시대적 배경 38 분
2차시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1 31 분
3차시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2 32 분
2주  4월15일~4월21일
4차시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1 28 분
5차시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2 30 분
6차시 주요 국가의 평생교육 담론 동향 28 분
3주  4월22일~4월28일
7차시 한국에서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 현황 25 분
8차시 사회교육·평생교육·평생학습 개념의 변천과 재고찰 25 분
9차시 세 개념의 정립과 학문적 지향성 30 분
4주  4월29일~5월5일
10차시 전통적 교육학의 개념 정의와 문제점 29 분
11차시 교육에 대한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정의 24 분
12차시 교육적 선순환의 조건 27 분
5주  5월6일~5월12일
13차시 한국의 평생교육적 선(先) 사유 35 분
14차시 한국의 평생교육적 실천 26 분
15차시 한국 평생교육 법제화의 초기 구상, 한국의 평생교육 법제화 당시 쟁점 27 분
6주  5월13일~5월19일
16차시 「평생교육법」의 주요 개정내용, 「평생교육법」의 구조 31 분
17차시 「평생교육법」에 따른 정책사업 26 분
18차시 「평생교육법」의 집행에서 부각된 쟁점 25 분
7주  5월20일~5월26일
19차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의 초기 구상,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요 28 분
20차시 지역교육활동가의 등장 배경과 역할 27 분
21차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26 분
중간고사기간 : 2025.05.30 ~ 2025.06.02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6.12 오전 10시 ~ 2025.06.13 오후 4시
9주  6월3일~6월9일
22차시 학습사회론의 등장과 전개 32 분
기말과제 부여 :
과제기간 : 2025.06.03 ~ 2025.06.16
23차시 OECD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28 분
24차시 우리나라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유네스코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33 분
10주  6월10일~6월16일
25차시 마을평생교육 개념의 등장 맥락 29 분
26차시 마을평생교육을 통한 마을의 재구조화 30 분
27차시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사업과 접속 지점 & 마을평생교육 실천의 쟁점 28 분
11주  6월17일~6월23일
28차시 마을에서 학교의 위상,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음 28 분
29차시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접속 29 분
30차시 마을교육공동체 담론 31 분
12주  6월24일~6월30일
31차시 평생교육에서 상담의 맥락 & 평생교육에서 컨설팅의 맥락 35 분
32차시 평생교육에서 상담 및 컨설팅의 중요성 25 분
33차시 평생교육상담 및 컨설팅에서 요구되는 전문성 27 분
13주  7월1일~7월7일
34차시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31 분
35차시 평생교육 흐름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위상 26 분
36차시 평생교육학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발전, 사회의 미래태와 평생교육의 시급성 30 분
14주  7월8일~7월14일
37차시 평생교육현장을 드나드는 연구, 평생교육연구와 개선 가능한 실천 35 분
38차시 교육생애의 기록과 연구 24 분
39차시 평생교육 정책 수행과정에 대한 연구 31 분
15주
기말고사기간 : 2025.07.18 ~ 2025.07.21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7.24 오전10시 ~ 2025.07.24 오후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