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시 |
차시내용 |
시간 |
1주 4월8일~4월14일 |
1차시 |
평생교육 개념 등장의 시대적 배경 |
38 분 |
2차시 |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1 |
31 분 |
3차시 |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2 |
32 분 |
2주 4월15일~4월21일 |
4차시 |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1 |
28 분 |
5차시 |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2 |
30 분 |
6차시 |
주요 국가의 평생교육 담론 동향 |
28 분 |
3주 4월22일~4월28일 |
7차시 |
한국에서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 현황 |
25 분 |
8차시 |
사회교육·평생교육·평생학습 개념의 변천과 재고찰 |
25 분 |
9차시 |
세 개념의 정립과 학문적 지향성 |
30 분 |
4주 4월29일~5월5일 |
10차시 |
전통적 교육학의 개념 정의와 문제점 |
29 분 |
11차시 |
교육에 대한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정의 |
24 분 |
12차시 |
교육적 선순환의 조건 |
27 분 |
5주 5월6일~5월12일 |
13차시 |
한국의 평생교육적 선(先) 사유 |
35 분 |
14차시 |
한국의 평생교육적 실천 |
26 분 |
15차시 |
한국 평생교육 법제화의 초기 구상, 한국의 평생교육 법제화 당시 쟁점 |
27 분 |
6주 5월13일~5월19일 |
16차시 |
「평생교육법」의 주요 개정내용, 「평생교육법」의 구조 |
31 분 |
17차시 |
「평생교육법」에 따른 정책사업 |
26 분 |
18차시 |
「평생교육법」의 집행에서 부각된 쟁점 |
25 분 |
7주 5월20일~5월26일 |
19차시 |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의 초기 구상,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요 |
28 분 |
20차시 |
지역교육활동가의 등장 배경과 역할 |
27 분 |
21차시 |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
26 분 |
중간고사기간 : 2025.05.30 ~ 2025.06.02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6.12 오전 10시 ~ 2025.06.13 오후 4시 |
9주 6월3일~6월9일 |
22차시 |
학습사회론의 등장과 전개 |
32 분 |
기말과제 부여 : 과제기간 : 2025.06.03 ~ 2025.06.16 |
23차시 |
OECD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
28 분 |
24차시 |
우리나라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유네스코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
33 분 |
10주 6월10일~6월16일 |
25차시 |
마을평생교육 개념의 등장 맥락 |
29 분 |
26차시 |
마을평생교육을 통한 마을의 재구조화 |
30 분 |
27차시 |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사업과 접속 지점 & 마을평생교육 실천의 쟁점 |
28 분 |
11주 6월17일~6월23일 |
28차시 |
마을에서 학교의 위상,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음 |
28 분 |
29차시 |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접속 |
29 분 |
30차시 |
마을교육공동체 담론 |
31 분 |
12주 6월24일~6월30일 |
31차시 |
평생교육에서 상담의 맥락 & 평생교육에서 컨설팅의 맥락 |
35 분 |
32차시 |
평생교육에서 상담 및 컨설팅의 중요성 |
25 분 |
33차시 |
평생교육상담 및 컨설팅에서 요구되는 전문성 |
27 분 |
13주 7월1일~7월7일 |
34차시 |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
31 분 |
35차시 |
평생교육 흐름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위상 |
26 분 |
36차시 |
평생교육학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발전, 사회의 미래태와 평생교육의 시급성 |
30 분 |
14주 7월8일~7월14일 |
37차시 |
평생교육현장을 드나드는 연구, 평생교육연구와 개선 가능한 실천 |
35 분 |
38차시 |
교육생애의 기록과 연구 |
24 분 |
39차시 |
평생교육 정책 수행과정에 대한 연구 |
31 분 |
15주 |
기말고사기간 : 2025.07.18 ~ 2025.07.21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7.24 오전10시 ~ 2025.07.24 오후4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