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시 |
차시내용 |
시간 |
1주 4월8일~4월14일 |
1차시 |
‘문화’에 대한 다양한 개념 형성 |
28 분 |
2차시 |
‘문화’에 대한 개념 이해 |
26 분 |
3차시 |
현대적 문화의 개념과 가치 |
22 분 |
2주 4월15일~4월21일 |
4차시 |
주요한 고전 문화 이론들 |
32 분 |
5차시 |
주요한 현대 문화 철학 |
36 분 |
6차시 |
문화연구방법과 문화의 유형 및 범위 |
31 분 |
3주 4월22일~4월28일 |
7차시 |
문화와 언어의 관계 |
30 분 |
8차시 |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
31 분 |
9차시 |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
36 분 |
4주 4월29일~5월5일 |
10차시 |
현대사회의 특징 및 한국사회의 현대성 |
25 분 |
11차시 |
정보화 시대 디지털 문화의 특징 |
29 분 |
12차시 |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 |
29 분 |
5주 5월6일~5월12일 |
13차시 |
한국인의 문화적 특징 |
26 분 |
14차시 |
한국의 언어문화 |
29 분 |
15차시 |
한국의 정신문화 |
25 분 |
6주 5월13일~5월19일 |
16차시 |
한국 의생활 및 현대적 의생활 문화의 특징 |
22 분 |
17차시 |
한국 음식문화의 특징 |
31 분 |
18차시 |
한국 주거문화의 특징 |
29 분 |
7주 5월20일~5월26일 |
19차시 |
한국의 변화하는 가족 개념과 가족주의적 특징 |
21 분 |
20차시 |
가족의 기능과 한국의 가족 문화 |
22 분 |
21차시 |
한국인의 공동체 의식과 집단주의 |
42 분 |
중간고사기간 : 2025.05.30 ~ 2025.06.02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6.12 오전 10시 ~ 2025.06.13 오후 4시 |
9주 6월3일~6월9일 |
22차시 |
한국의 교육문화에 대한 전반적 이해 |
25 분 |
기말과제 부여 : 과제기간 : 2025.06.03 ~ 2025.06.16 |
23차시 |
한국교육의 변화 과정 |
30 분 |
24차시 |
학력사회의 의미와 한국의 대학 |
23 분 |
10주 6월10일~6월16일 |
25차시 |
여가의 개념과 한국인의 여가 생활에 대한 전반적 이해 |
27 분 |
26차시 |
한국인의 여가문화의 특징 |
28 분 |
27차시 |
한국 관광문화의 특징 |
28 분 |
11주 6월17일~6월23일 |
28차시 |
대중문화의 개념과 이론적 이해 |
31 분 |
29차시 |
대중문화 형성과 대중매체 |
26 분 |
30차시 |
한국 대중문화의 특징과 발전 방향 |
26 분 |
12주 6월24일~6월30일 |
31차시 |
한류의 개념과 역사 |
28 분 |
32차시 |
한류의 효과와 k-pop |
28 분 |
33차시 |
한류의 미래 |
31 분 |
13주 7월1일~7월7일 |
34차시 |
문화재의 개념과 유형 |
28 분 |
35차시 |
다양한 한국 문화재의 종류와 가치 |
36 분 |
36차시 |
문화재 보호와 가치 확산 |
30 분 |
14주 7월8일~7월14일 |
37차시 |
한국의 유교 사상 |
30 분 |
38차시 |
한국의 불교 사상 |
30 분 |
39차시 |
한국의 무속신앙과 도교 사상 |
32 분 |
15주 |
기말고사기간 : 2025.07.18 ~ 2025.07.21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7.24 오전10시 ~ 2025.07.24 오후4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