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시 |
차시내용 |
시간 |
1주 5월13일~5월19일 |
1차시 |
오리엔테이션,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1) |
32 분 |
2차시 |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2) |
33 분 |
3차시 |
한국문학사의 전개 및 한국문학의 특질 |
29 분 |
2주 5월20일~5월26일 |
4차시 |
구비문학 개론, 설화(신화)의 종류, 특징, 작품 감상(1) |
34 분 |
5차시 |
구비문학 개론, 설화(신화)의 종류, 특징, 작품 감상(2) |
46 분 |
6차시 |
민요의 종류 및 작품 감상 |
26 분 |
3주 5월27일~6월2일 |
7차시 |
무가의 특징, 종류(서사무가 작품 감상) |
39 분 |
8차시 |
판소리의 정의, 특징, 작품 감상 |
33 분 |
9차시 |
민속극(가면극, 인형극)의 특징 및 작품 |
41 분 |
4주 6월3일~6월9일 |
10차시 |
한문학(전) |
29 분 |
11차시 |
한문소설(1) 김시습의 소설 |
27 분 |
12차시 |
한문소설(2) 박지원의 소설 |
29 분 |
5주 6월10일~6월16일 |
13차시 |
고전시가 개론, 상고 시가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36 분 |
14차시 |
향가의 특징 및 작품 감상(1) |
25 분 |
15차시 |
향가의 특징 및 작품 감상(2) |
25 분 |
6주 6월17일~6월23일 |
16차시 |
고려가요의 특징 및 작품 감상(1) |
25 분 |
17차시 |
고려가요의 특징 및 작품 감상(2) |
42 분 |
18차시 |
조선시대 시가(1)(악장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29 분 |
7주 6월24일~6월30일 |
19차시 |
조선시대 시가(2)(조선 전기 시조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45 분 |
20차시 |
조선시대 시가(3)(조선 후기 시조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50 분 |
21차시 |
조선시대 시가(4)(가사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47 분 |
중간고사기간 : 2025.07.04 ~ 2025.07.07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7.17 오전 10시 ~ 2025.07.18 오후 4시 |
9주 7월8일~7월14일 |
22차시 |
고전산문 개론 |
25 분 |
기말과제 부여 : 과제기간 : 2025.07.08 ~ 2025.07.21 |
23차시 |
국문소설의 형성과 발전(1)(허균의 홍길동전 감상) |
27 분 |
24차시 |
국문소설의 형성과 발전(2)(김민중의 사씨남정기,구운몽 감상) |
27 분 |
10주 7월15일~7월21일 |
25차시 |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22 분 |
26차시 |
가문소설의 특징 및 작품 감상 |
23 분 |
27차시 |
소설 이외의 산문문학(한중록, 계축일기) |
28 분 |
11주 7월22일~7월28일 |
28차시 |
근대시가 개론, 개화기의 시가 |
31 분 |
29차시 |
1920년대 시의 경향 및 대표작 감상 |
35 분 |
30차시 |
1930년대 시의 경향 및 대표작 감상 |
35 분 |
12주 7월29일~8월4일 |
31차시 |
광복과 한국전쟁, 1960년대 시의 특징 및 대표작 감상 |
26 분 |
32차시 |
1970~80년대 시의 경향 및 대표작 감상 |
36 분 |
33차시 |
1990년대 이후 시의 경향 및 대표작 감상 |
25 분 |
13주 8월5일~8월11일 |
34차시 |
근대산문 개론, 개화기 소설의 특징 및 대표작 |
29 분 |
35차시 |
1920년대 소설의 특징 및 대표작 |
28 분 |
36차시 |
1930년대 소설의 특징 및 대표작 |
23 분 |
14주 8월12일~8월18일 |
37차시 |
광복 이후 소설의 특징 및 대표작(1) |
24 분 |
38차시 |
광복 이후 소설의 특징 및 대표작(2) |
23 분 |
39차시 |
2000년대 이후 소설의 특징 및 다문화 소설 |
30 분 |
15주 |
기말고사기간 : 2025.08.22 ~ 2025.08.25 성적이의시청기간 : 2025.09.04 오전10시 ~ 2025.09.05 오후4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