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학기 5차 평생교육론
닫기버튼

전공과목 안내

평생교육론
학점 3점
수강료 150,000원
지도교수
정원 0명
강의교수
차시수 39차시
전공구분 평생/교양,
학습기간 2024.09.24 ~ 2025.01.06
중간시험 일시 : 2024.11.15 ~ 2024.11.18
중간과제
기말시험 2025.01.03 ~ 2025.01.06
기말과제 제출기간
2024.11.19 ~ 2024.12.02

수료기준

평균 점 60 점 이상 | 필도출석 80 %

수료점수 가중치

수료점수 가중치
출석 15%
시험 50%
과제 15%
참여 0%

수료 주의사항

관련전공

수료점수 가중치
학사
전문학사

과정목차

1차시  평생교육 개념 등장의 시대적 배경 | 2차시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1 | 3차시  평생교육 개념의 초기 구상 2  | 4차시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1 | 5차시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담론 2 | 6차시  주요 국가의 평생교육 담론 동향 | 7차시  한국에서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 현황 | 8차시  사회교육·평생교육·평생학습 개념의 변천과 재고찰 | 9차시  세 개념의 정립과 학문적 지향성 | 10차시  전통적 교육학의 개념 정의와 문제점 | 11차시  교육에 대한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정의 | 12차시  교육적 선순환의 조건 | 13차시  한국의 평생교육적 선(先) 사유 | 14차시  한국의 평생교육적 실천 | 15차시  한국 평생교육 법제화의 초기 구상, 한국의 평생교육 법제화 당시 쟁점 | 16차시  「평생교육법」의 주요 개정내용, 「평생교육법」의 구조 | 17차시  「평생교육법」에 따른 정책사업 | 18차시  「평생교육법」의 집행에서 부각된 쟁점 | 19차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의 초기 구상,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요 | 20차시  지역교육활동가의 등장 배경과 역할 | 21차시  평생교육사 자격제도 운용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 22차시  학습사회론의 등장과 전개 | 23차시  OECD 학습도시 사업의 구상과 전개 | 24차시  우리나라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유네스코 학습도시 사업의 구성과 전개 | 25차시  마을평생교육 개념의 등장 맥락 | 26차시  마을평생교육을 통한 마을의 재구조화 | 27차시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사업과 접속 지점 & 마을평생교육 실천의 쟁점  | 28차시  마을에서 학교의 위상,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음 | 29차시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접속 | 30차시  마을교육공동체 담론 | 31차시  평생교육에서 상담의 맥락 & 평생교육에서 컨설팅의 맥락 | 32차시  평생교육에서 상담 및 컨설팅의 중요성 | 33차시  평생교육상담 및 컨설팅에서 요구되는 전문성 | 34차시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 35차시  평생교육 흐름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위상 | 36차시  평생교육학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발전, 사회의 미래태와 평생교육의 시급성 | 37차시  평생교육현장을 드나드는 연구, 평생교육연구와 개선 가능한 실천  | 38차시  교육생애의 기록과 연구 | 39차시  평생교육 정책 수행과정에 대한 연구 | 

수업개요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원하면 배울 수 있는 평생학습사회 도래에 따라 평생교육론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평생교육사의 기본 과목이다. 
따라서 본 교과목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핵심개념을 이해하고 평생학습사회의 이념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의 평생교육의 영역과 대상 등 이론과 실천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의 개념과 이념, 평생교육의 역사성, 평생교육법과 평생교육제도, 평생교육의 영역, 대상, 유형, 평생교육의 현황,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책임, 평생교육 정책 동향, 평생교육의 과제 및 방향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학습하고 이해함으로써 평생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과 태도 및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수업목표

1) 평생교육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그 개념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에 비추어 현재의 교육 현상을 조망할 수 있다.

2) 현재 그리고 미래의 평생교육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지역과 마을에서의 다양한 평생교육 실천에 논의들을 이해하고, 미래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3) 평생교육 관점에서 실천적 연구를 진행하고 평생교육에 대한 시각을 가질 수 있다.

교재

교재
주교재
부교제

학습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