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학기 6차 청소년복지론
닫기버튼

전공과목 안내

청소년복지론
학점 3점
수강료 150,000원
지도교수
정원 80명
강의교수
차시수 26차시
전공구분 사회복지(전선)/청소년학,
학습기간 2025.04.08 ~ 2025.07.21
중간시험 일시 : 2025.05.30 ~ 2025.06.02
중간과제
기말시험 2025.07.18 ~ 2025.07.21
기말과제 제출기간
2025.06.03 ~ 2025.06.16

수료기준

평균 점 60 점 이상 | 필도출석 80 %

수료점수 가중치

수료점수 가중치
출석 15%
시험 50%
과제 15%
참여 0%

수료 주의사항

관련전공

수료점수 가중치
학사 사회복지(전선)/청소년학
전문학사

과정목차

1차시  청소년의 이해 1  | 2차시  청소년의 이해 2 | 3차시  청소년의 발달이론 | 4차시  청소년복지의 개념 | 5차시  청소년복지의 발전과정 | 6차시  청소년복지의 특성과 원칙 | 7차시  청소년 개별상담 | 8차시  청소년 개별상담의 개입과정과 전략 | 9차시  청소년 집단상담 | 10차시  청소년 집단상담의 과정 | 11차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 12차시  청소년 수련활동 | 13차시  청소년 문화활동 | 14차시  청소년관련법과 행정체계 | 15차시  청소년복지 정책 | 16차시  비행청소년 문제 | 17차시  시설보호 청소년 문제 | 18차시  가정 밖 청소년 문제 | 19차시  학교폭력 청소년 문제 | 20차시  학교 밖 청소년 문제 | 21차시  청소년 약물남용과 복지 | 22차시  청소년 성착취피해 문제  | 23차시  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 문제 1 | 24차시  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 문제 2 | 25차시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 1 | 26차시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 2 | 

수업개요

사회복지 실천분야의 한 영역으로써 청소년문제와 복지 그리고 문화에 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청소년복지의 전문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발달을 이해하고,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의의를 파악하고, 청소년에 관련된 법들과 정책, 행정들을 살펴본다. 또한 청소년복지의 실천영역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행동문제들을 가정, 학교, 지역사회, 문화 등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을 고찰하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한다. 특히 청소년이 보호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와 참여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을 조망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청소년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 사회복지정책 및 서비스, 문화 등을 이해하고 청소년복지 전문가로 필요한 가치 및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수업목표

본 교과목을 통해 청소년복지의 실천영역에서 청소년의 문제를 분석하고,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문제 속에서 다양한 청소년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올바른 가치를 정립하고,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1.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발달의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의의를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2. 청소년과 관련된 법, 정책, 행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전문가로서 가치 및 지식,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다.

3. 청소년복지의 실천영역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행동문제들을 가정, 학교, 지역사회, 문화 등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사회복지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4. 청소년 문제와 복지, 문화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복지의 전문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5. 권리의 주체와 참여의 주역으로서의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을 조망할 수 있다.

6.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와 정책 및 서비스와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전문가로서 청소년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교재

교재
주교재
부교제

학습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