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목 안내
학교사회복지론
학점 |
3점 |
수강료 |
150,000원 |
지도교수 |
|
정원 |
80명 |
강의교수 |
|
차시수 |
26차시 |
전공구분 |
사회복지학,
|
학습기간 |
2025.05.13 ~ 2025.08.25 |
중간시험 |
일시 :
2025.07.04 ~ 2025.07.07
|
중간과제 |
|
기말시험 |
2025.08.22 ~ 2025.08.25
|
기말과제 |
제출기간
2025.07.08 ~ 2025.07.21
|
수료기준
평균 점 60 점 이상 | 필도출석 80 %
수료점수 가중치
수료점수 가중치
출석 |
15% |
시험 |
50% |
과제 |
15% |
참여 |
0% |
수료 주의사항
관련전공
과정목차
1차시 학교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 2차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대상과 유형 | 3차시 외국 학교사회복지의 역사 | 4차시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 5차시 학생의 발달 특성 | 6차시 학생인권 | 7차시 청소년과 학생 문화 | 8차시 취약 집단 학생의 특성 | 9차시 학교 기능과 조직의 이해 | 10차시 학교 교육과정과 재정 | 11차시 학교사회복지 관련법 | 12차시 학교사회복지 관련 정책 | 13차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 14차시 학교사회복지사의 실천윤리 | 15차시 학교사회복지 실천 관점 | 16차시 학교사회복지 실천 모델 | 17차시 학교사회복지 실천 과정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의견 | 18차시 학교사회복지 실천 과정 | 19차시 학생 중심 개입의 실천 | 20차시 학생 중심 개입의 평가 | 21차시 학교 중심의 개입과 평가 | 22차시 가정, 지역사회 중심의 개입과 평가 | 23차시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 구성 요소와 운영체계 | 24차시 학교현장에서의 사례관리 과정과 실제 | 25차시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과 수련제도 | 26차시 학교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슈퍼비전 |
수업개요
현대사회에서 증가하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인간의 욕구 충족을 통하여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행정 및 사회복지실천방법의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사회복지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
수업목표
본 과목은 학교사회복지의 전문적 가치와 실천 지식, 기술을 학습하여 학교사회복지사로서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전문적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세부 목표는 아래와 같다.
1.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및 발달과정과 최근 현황을 학습함으로써, 학생 개인과 가정, 학교 교육과 사회 환경의 각 차원에서 학교사회복지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2. 학교사회복지관련 법과 정책 및 다양한 여건의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을 학습하여 향후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
3. 학교현장에서 진행 중인 프로그램 분석을 토대로 학교사회복지사의 대표적인 직무인 사례관리와 지역사회 네트워크 실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4. 학교사회복지의 실천모델 및 실천기술, 운영모형을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5.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각 문제점에 따른 개별, 집단, 지역사회 대상 학교사회복지 서비스를 기획 및 평가할 수 있다.
6. 대면-비대면 교육 여건 속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 가치와 윤리를 학습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다.
7.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개입전략을 학습함으로써 실제 활용 가능한 다양한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발굴 및 개발할 수 있다.
8. 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학교사회복지사 국가자격 전환 및 수련제도를 설명할 수 있다.
교재
학습환경